전체 글 17

중국의 고대왕조: 당나라

개요 당나라(唐朝, 618년 ~ 907년)는 수나라와 오대 십국 시대 사이에 존재한 중국의 왕조이다. 수도는 현재의 시안인 장안이었다. 초대황제인 이연은 수나라 말기에 권력을 잡아 수나라를 멸망시키고 당나라를 건국했다. 7세기와 8세기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정부에 등록된 인구 수는 약5,000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후 중앙 정부가 붕괴되어 인구 수를 제대로 조사하기 어려웠던 9세기에도 인구 수는 8,000만명 정도로 증가했다고 추산된다. 이러한 인구 수 덕분에 당나라는 중앙아시아를 지배하고 유목민을 상대하기 위해 전문적인 징집병을 양성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비단길을 장악할 수 있었다. 수 많은 왕조와 국가들이 당나라에 조공을 바쳤으며 일부 지역은 당나라가 직접 정복해 간접적 통치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중국역사 2021.01.15

중국의 고대왕조: 금나라

개요 대금(大金, 1115년~1234년)은 여진족 완안부의 아골타가 1115년 황제에 즉위하여 국호를 대금, 연호를 수국(收國)으로 정하면서 건국됐다. 금나라의 시조 아골타는 한 때 여진족들을 지배하던 요나라를 서쪽으로 내쫓고 그 자리에 여진족들의 나라인 금나라를 세웠다. 이 서쪽으로 내쫓긴 이후의 요나라를 서요라고 칭한다. 금나라는 요나라를 내쫓은 이후, 남쪽에 있던 송나라를 정벌하기 위하여 대규모 군사 원정을 일으켰고, 이 전쟁은 향 후 몇 백 년 동안 지속되었다. 한편 금나라의 여진족들은 중원에 거주하기 시작하며, 한족의 문화에 깊이 젖어들었으며 나중에는 심지어 북부의 몽골족들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만리장성을 개축하기까지 하였다. 금나라 시기, 중국 북부에서는 유교가 다시 흥하였고 한족의 문화가 흥..

중국역사 2021.01.14

중국의 고대왕조: 송나라

개요 송나라(宋朝, 960년~1279년)는 중국의 옛 왕조다. 960년 조광윤이 오대십국 시대의 후주로써 제위를 선양받아 개봉(카이펑)에 도읍하여 나라를 세웠다. 국호는 송(宋)이었으나, 춘추시대 송, 남북조 시대 송을 구별하고자 황실의 성씨를 따라 조송(趙宋)이라고도 부른다. 송나라는 이후 요나라와 서하, 북쪽에 있는 금나라와 패권을 다투며 끊임없는 갈등을 겪는다. 결국 몽골족이 세운 원나라에 의하여 멸망하였다. 송나라는 크게 북송과 남송, 이 2개의 시기로 나뉜다. 북송 시기는 960년부터 1127년까지인데, 이 시기에 송나라의 수도는 개봉에 있었으며 중국 동부 대부분을 장악하였다. 허나 1127년 이후에는 송나라가 여진족이 이끄는 금나라에 밀려 북쪽 영토에 대한 영향력을 읽고 남쪽으로 쫓겨 내려가 ..

중국역사 2021.01.07

중국의 고대왕조: 당나라

개요 당 나라(唐朝, 618년 ~ 907년)는 수나라와 오대 십 국 시대 사이에 존재한 중국의 왕조이다. 수도는 현재의 시안인 장안이었다. 초대 황제인 이연은 수 나라 말기에 권력을 잡아 수 나라를 멸망시키고 당 나라를 건국했다. 7세기와 8세기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정부에 등록된 인구수는 약 5,000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 후 중앙 정부가 붕괴되어 인구수를 제대로 조사하기 어려웠던 9세기에도 인구수는 8,000만 명 정도로 증가했다고 추산된다. 이러한 인구수 덕분에 당 나라는 중앙아시아를 지배하고 유목민을 상대하기 위해 전문적인 징집병을 양성할 수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비단길을 장악할 수 있었다. 수많은 왕조와 국가들이 당 나라에 조공을 바쳤으며, 일부 지역은 당 나라가 직접 정복해 간접적 통치를 ..

중국역사 2020.12.26

중국의 고대왕조: 후한

개요 신나라의 멸망 이후로 혼란기를 거쳐서 전한을 명실상부 계승한 국가. 건국자는 광무제 유수(劉秀). 중국에서는 오대 십국 시대 후한과의 구별을 위해, 수도 낙양의 위치가 전한의 수도 장안보다 동쪽에 있는 점에 착안하여 '동한'이라고도 한다. 여기에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의 중문 학계, 철학계 등에서도 서한, 동한(통칭으로 양한)으로 자주 사용한다. 우리나라의 사학계와 일본의 학계에서는 대개 전한, 후한 (한대(漢代) 내지는 양한)이라고 한다. 학술적으로 봤을 때에는 동한/서한으로 구분하는 게 더 좋을 수도 있는 게, 역사상에서 비슷한 케이스들은 모두 동주/서주, 동진/서진, 남송/북송 이런 식으로 불려졌고, 그 외에도 원나라를 이은 북원, 명나라를 이은 남명 등의 케이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굳이 한나라만..

중국역사 2020.12.08

중국의 고대왕조: 전한

개요 전한(前漢) (기원전 202년~기원 후 8년)은 고조 유방이 항우와 대륙 쟁탈 뒤에 세운 왕조로서 진(秦)에 이어서 중국을 두 번째로 통일한 왕조이다. 수도는 장안이었는데 그 위치가 후에 세워진 후한의 수도 낙양보다 서쪽에 있어서 서한(西漢)이라고도 불린다. 건국 고조 유방은 원래 정장(亭長)으로 의병을 일으켜 패공(沛公)의 자리에 올라 초(楚)의 의제(義帝)를 섬기다가 그 세력이 커져 또 다른 거대 세력인 항우와 경쟁하였다. 처음에는 거듭 패배하였으나 한신, 장량, 소하를 위시해 많은 인재를 기용하여 기원전 202년 전세를 역전하기 시작했고 최종 해하 전투에서 항우를 격파하고 한을 건국했다. 수도를 장안으로 삼았다. 전성기 문경지치(文景之治)로 일컬어지는 문제, 경제 시기의 전한은 내실을 다지는 ..

중국역사 2020.12.07

중국의 고대왕조: 진 (통일왕조)

개요 중국의 서주 시대 부터 존재하던 제후국. 전국시대의 7웅 중 하나이다. 현대 중국어 발음은 Qin(친)이다. 동주의 낙읍 천도 이후 중원이 여러 개의 제후국으로 갈라져있던 춘추 전국 시대를 종결시키고 중국을 통일한 나라로 중국 역사상 최초의 황제인 진시황으로 유명하다. 춘추 전국 시대를 종결시키고 중국을 통일한 나라로 중국 역사상 최초의 황제인 진시황으로 유명하다. 춘추 전국 시대의 전반기라고 할 수 있는 춘추 시대에 공존했던 다른 춘추오패인 진나라나 나 훗날 중국을 재통일하는 진나라(晉)와는 다른 나라다. 중국 서부에 있던 나라로, 척박한 땅과 야만적인 국가란 이유로 무시당했지만 꾸준히 무력으로 주변국을 강하게 압박하였으며, 진시황에 이르러 중국을 통일하게 된다. 이후 만리장성을 쌓고, 문자와 도..

중국역사 2020.11.24

중국의 고대왕조: 수나라

개요 남북조 시대 이후 세워진 첫 통일왕조이며 중국 역사상 두 번째로 단명한 통일 왕조이다. (이 기록 덕에 역대 수나라 중 가장 잘 알려졌다.) 어떤 면에서 보면 위진남북조 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왕조이기도 하다. 이는 북사에서 수나라 항목이 들어간 것을 보면 알 수 있으며, 수나라 자체도 북주를 계승한 국가이기 때문이다. 북주가 멸망하고 수나라가 건국되었다. 황실의 출신을 따지면 선지족인지 한족인지 불분명하다. 양씨(楊氏)는 북위초기 무천진(武川鎭)으로 이주하였고, 양견의 아버지 양충에 이르게 되었다. 양견은 호한 융합 시대에 태어났으며 원래 이름은 하사받은 보육여견(普六茹堅)이다. 양견의 어릴 적 이름은 금강나라연(金剛那羅延)이다. 보육여는 우문태한테 하사 받은 것으로 선비어로 '버들'이라는 뜻이..

중국역사 2020.11.23

중국의 고대왕조: 주나라

개요 기원 전 1040년 즈음에 멸망한 상나라를 이어, 약 기원 전 1100년 부터 기원 전 256년까지 중국에서 존재한 고대국가다. (기원 전 1100년대 ~ 기원 전 256년) 통칭 희주(姬周), 중국의 인문주의, 천(天)사상 그리고 세계 체제 등의 기틀을 놓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평가된다. 일반적으로 '주나라'라고 하면 이 나라를 가리킨다. 역사서 사기에 따르면, 사마천은 기원 전 841년 이전의 주나라의 역사는 알 수가 없다고 하였다. 그가 기원 전 841년에 주목했던 이유는 폭정을 일으켰던 주나라 여왕(厲王)이 쫒겨나고 기원 전 841년 부터 828년까지는 공백화가 나라를 다스렸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 시대를 공화시대라고 칭한다. 사마천은 공화 원년을 기년(紀年)으로 삼았고 사기..

중국역사 2020.11.23

중국의 고대왕조: 상나라

개요 중국의 고대국가. 기원 전 17세기에서 기원 전 11세기까지 존재하였다. 한자는(商). 국성은 자(子). 수도는 은허. 은(殷)나라라고도 부른다. 한때 전설 상의 국가로 인식되었으나 은허 유적과 갑골 문자 기록의 발견으로 실존했던 중국 최초 국가로 인정 받고 있다. 명칭 은(殷)이라고도 불리기에 합칭하여 은상(殷商)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었다. 은은 반경~제신 시기에 도읍했던 상나라 최후의 수도인데, 당대에는 의(衣)혹은 '대읍 상'(大邑 商)이라는 별칭이 있었다. 그러나 그들 자신은 은을 도시 이름으로만 쓰고 부족 이름은 상이라 하였다. 갑골문에서도 은이라는 글자는 나타나지 않는다. 나라 이름이 은이라 불린 것은 주대 성립부터로, 초기에는 상과 혼용하다가 후에 은으로만 부르게된다. 이를 주나라 사..

중국역사 2020.11.19